용어정리

미디어랩

그린빌나 2008. 9. 19. 15:00

 

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이란


광고시간이나 지면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회사이며, 일부 유럽에서는 판매미디어렙을 미디어 판매회사(Media Sales House)로 부르기도 한다.

미디어를 구매하는 회사는 미디어구매사(Media Buying Company)라고 한다.


매체사가 미디어렙을 이용하는 이유는 방송의 편성과 제작을 광고영업과 분리시켜 전문화, 효율화함으로서 매체사의 방송경영의 합리화와 수익성 제고에 있다. 또한 광고주와 매체구매회사에 과학적인 매체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서 광고주 유치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  미디어렙의 역사

미국은 1888년 Emmanual Katz가 뉴욕에 Special Adver

tising Agency를 설립하여, 1930년 라디오광고 판매대행을 하면서 본격적인 미디어렙 제도가 시작되었다.


유럽은 1928년에 프랑스의 IP사가 미디어렙 업무를 최초로 실시하였다. 미디어렙은 네트워크 판매중심의 미국의 경우보다 방송제작과 광고영업이 분리된 유럽에서 체계적으로 발전하였다.


□  미디어렙의 형태

- 판매매체의 종류에 따라

동종 매체만을 취급하는 형태와 이종 매체를 복합적으로 취급하는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 매체사와의 관계에 의한 형태 구분

 매체사의 광고만을 취급하는 자회사 형태와 매체사의 자회사 관계지만 타매체 광고도 판매하는 형식 그리고 매체사와 관계없는 독립 미디어렙인 경우가 있다.


- 매체사의 설립자본과 운영주체의 성격에 따라

공영미디어렙, 민영미디어렙, 국영미디어렙으로 구분된다. 공영미디어렙의 경우 공영매체사의 자회사 형식의 미디어렙이며, 민영미디어렙의 경우는 민영방송사에서 운영하는 자회사 형식이거나 독립된 미디어렙이라고 할 수 있다. 국영미디어렙의 경우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미디어렙으로, 네덜란드의 국가광고방송전담기구(STER)가 여기에 해당된다.


※ 한국방송광고공사는 공영미디어렙이라기 보다는 미디어렙의 구분으로 보면 국영미디어렙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공영미디어렙은 공영방송사에서 운영하는 미디어렙의 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