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자본시장이 개방된 이후 국제적으로 금융혼란이 있을때마다 국제적 투기성 단기 부동자금 즉, hot money의 유입에 주의해야 한다라는 기사나 뉴스를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핫머니(hot money)의 대표격으로 꼽히는 것이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헤지펀드(hedge funds)이다.
헤지펀드(hedge funds)는 100명 미만의 소수투자가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자금을 모집하여 헤징 등 각종 투자기법을 이용하여 자금을 운용한뒤 투자실적에 따라 배당하는 사모(私募) 파트너십(partnership)을 말한다.
1949년 Alfred Jones가 처음으로 미국에 헤지펀드를 설립하였는데 본래 헤지펀드는 시장위험 최소화를 통한 안정적 투자를 중시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 등 금융자산뿐 아니라 원유, 귀금속 등 실물자산에도 투자하는 등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약 4,000여개가 넘는 헤지펀드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90년대 들면서 개발도상국들의 금융시장이 개방되고, 일본의 거품붕괴 후 대량의 자금이 헤지펀드로 발길을 돌리게 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은 이러한 헤지펀드가 주도하는 핫머니에 의한 투기장화 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 헤지펀드는 파생금융상품을 집중적으로 거래하기 때문에 이들이 일제히 움직일 경우에는 국제금융계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하루 1조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표적인 헤지펀드에 의한 금융혼란으로는 92년의 영국의 파운드화가 폭락했을 때, 94년의 멕시코 금융위기, 그리고 97년 7월 태국의 바트화 폭락 사태 등이 헤지펀드가 주도하는 핫머니의 움직임이 있었다.
헤지펀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펀드는 전세계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조지 소로스의 "콴텀펀드"가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