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오! 놀라워라 IT 코리아”
BBC “오! 놀라워라 IT 코리아” |
3부작 특집 기획보도로 IT 강국 한국 소개 |
"움직이는 인터넷시대,
한국인들은 언제 어디서나 접속 중.“ 영국 BBC 방송은 IT 강국 한국에 대한 특집기획 보도에서 휴대폰으로 TV를 보고, 온라인 데이트를
즐기고, 인터넷을 통해 시민저널리즘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한국의 IT 혁명을 이렇게 전했다. ================================================================ 디지털 미래 열어가는 한국의 모습 영상으로
생생히 지금까지 BBC의 한국 관련 프로그램은 김치 등 음식 문화, 태권도, 침술, 무속 등 단편적이거나 동물애호가들의 비난이 되고 있는 한국의 보신탕이 대부분이었다. 영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인지도나 관심은 중국, 일본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에 있다. 영국 젊은층의 대부분은 삼성, LG 핸드폰은 사용하면서도, 한국이라는 나라는 잘 모른다. IT 강국 한국에 대한 BBC의 기획 특집은 역동적인 한국의 모습을 영국인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생생하게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는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와이브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던 BBC 경제부의 니컬러스 클라크 프로듀서는 한국대사관의 홍보관을 통해 한국 IT발전상에 대해 전해 듣고 IT 강국 한국에 대한 특집을 기획했다. 2006년 ‘한·영상호방문의 해’를 맞아 영국에서의 한국 국가 이미지 제고 노력을 집중적으로 해오고 있는 한국 대사관은 BBC의 방한 취재를 적극 지원했다. 2억이 넘는 시청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BBC와 같은 강력한 매체를 통해 역동적인 한국의 모습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판단에서였다. 정부 기업 국민이 하나 되어 IT 강국
알린다 금번 BBC의 한국 특집 제작을 위해서 한국 내에서는 해외홍보원, 정보통신부 등 정부와 IT관련 기업들이 취재에 적극 협조하였다. 인터뷰에 응한 우리의 젊은 세대들도 BBC의 질문에 자신감을 갖고 답변을 해 주었다. 한국이 디지털 미래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 BBC 방송의 IT 강국 한국 특집은 이렇게 정부와 기업 및 국민들의 참여하에 성공적으로 제작 되었다. 해외 유력 언론의 한국보도가 한국의 이미지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선 유가가 1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이럴 때 일수록 첨단 기술 제품의 수출을 늘려 나가야한다. 그러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세계 시장에서 더 많은 제품을 팔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기업 이미지나 제품 브랜드 가치를 높여가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1세기 우리나라의 해외홍보도 우리 기업들이 생산한 제품의 수출이 확대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국가 이미지를 높이는 장기 전략을 세워 추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민관홍보협력 체제를 잘 운영해 나가야 한다. 한국 IT 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상세히 보여준 이번 BBC 기획특집 보도는 정부와 기업의 홍보 협력체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사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정인준 주 영국홍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