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JLPT·JPT와 HSK 이것만은 알고하자

그린빌나 2006. 9. 8. 15:39
[전교학신문]JLPT·JPT와 HSK 이것만은 알고하자
제2외국어로 차별수를 두라! 최근 일본어와 중국어 등 제2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본어능력시험 및 중국어능력시험 응시자가 늘고 있다. 일본어 능력시험인 JLPT와 JPT, 중국어 자격시험인 HSK를 준비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기본사항에 대해 알아봤다.(도움말=이지영 사미사일본어학원 JPT/JLPT 전문강사, 이준복 차이나로중국어학원 HSK 전문강사)



모의고사 문제집 많이 풀고 문제 빨리푸는 연습하도록



■ JPT 고득점 비결



◇JLPT와 JPT=JLPT는 국제교류기금 및 일본국제교육협회가 주관해 일본 국내 및 해외에서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 1회 실시한다. JLPT는 국가공인으로 치러지지만 한 번 시험을 보면 1년을 기다려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한국의 많은 기업체 및 학교는 국가공인은 아니지만 1년에 7회 실시하는 시험인 일본어시험의 ‘토익’ JPT도 같이 인정해주는 경향이 짙다. 두 시험 모두 일본어능력시험이기 때문에 적어도 기초 일본어 회화 및 문법공부가 되어 있어야 시험 공부가 가능하다.

◇각각 대비하자=두 시험 모두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의 일본어 실력을 점검한다는 것은 같다. 그러나 JLPT가 일반적인 수필이나 논술문 등의 지문을 활용한 시험인 반면 JPT는 실용문을 사용한 직독직해의 성격임은 물론 기본적인 일본 문화를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두 시험의 문제성격이 판이해 두 시험을 동시에 공부하는 사람의 점수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다. 또 다른 특징으로 JLPT는 급수가 나뉘어있기 때문에 해당급수에 해당하는 범위가 정해져 있지만 JPT는 같은 문제로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일본어를 처음 시작한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JPT가 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문제를 많이 풀자=모의고사 문제집을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에 이르기까지 많이 풀어야 한다. 이는 일본어능력시험을 대비하기 위해 일본어를 처음으로 접한 사람은 물론이고 일본어를 잘하는 사람에게도 해당한다. 아무리 실력이 좋은 사람이라도 문제를 풀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없기 때문이다. JLPT는 실시 1개월 전부터 3∼4년간의 기출문제를 꾸준히 풀어주고 JPT의 경우 시험을 많이 봐 실전감각을 쌓는 게 중요하다. 실력이 좋은 사람이라도 첫 시험에는 점수가 나오지 않다가 두 세 번 보면 실력대로 점수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스피드 싸움에 대비하자=JPT는 전체 청해 100문제에 배당된 시간이 40분에 불과할 정도로 청해(듣기)의 문제출제 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독해 100문제는 45분 이내에 모두 풀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시험이 스피드 싸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JLPT 역시 지문이 길어 문제 풀이에 시간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응시자 대부분이 쉼 없이 쏟아지는 문제 때문에 매우 힘들어한다. 두 시험 모두 시간을 보면서 모르는 문제는 과감하게 넘어가 다른 아는 문제를 먼저 푸는 것이 중요하다. 문의 02)723-8487(JLPT) / (02)2279-0505(JPT)



최근의 기출문제 풀어보고 통째로 문장 외우면 큰 효과



■ HSK 고득점 비결



◇HSK=漢語水平考試(한어수평고시)의 한어병음표기(Hanyu Shuiping Kaoshi) 머리글자.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의 중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가급 표준화고시로 1년에 4회 실시한다. 하지만 같은 응시자가 연달아 두 번 응시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6개월에 한 번 꼴로 기회가 돌아가는 셈. 기초 HSK, 초중등 HSK, 고등 HSK로 나뉘어져 있으며 중국 국가 한어 수평고시위원회가 출제·채점 및 증서발급을 책임진다. 이 시험 역시 중국어능력시험이므로 기초 중국어 회화 및 문법공부가 잘 되어 있어야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다.

◇골고루 잘 하자=HSK는 듣기, 어법, 독해, 종합,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그런데 모든 HSK 단계마다 해당하는 각 부분 성적 하한선이 존재하여 그 성적 아래는 합격할 수 없다. 따라서 HSK의 전 분야의 성적이 잘 나와야 합격할 수 있다. 듣기는 중국영화나 드라마를 보면서, 어법은 기본적으로 학습한 회화를 다시 정리해주면서 향상될 수 있다. 또 독해 능력을 키우기 위해 많이 읽어야 한다. 종합은 앞의 세 분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인 만큼 앞에서 이야기한 것을 모두 실행하면 된다.

◇문장을 통째로 외우자=HSK를 공부하는데 최근 3년간 기출문제를 알아두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문장을 읽으면서 통째로 외우는 것이다. 실제로 HSK는 기출문제를 조금씩 변형한 문제가 많은데 문장을 통째로 외운 응시자는 자신이 봤던 문장이기 때문에 문제를 풀기가 한결 수월하다. HSK 독해는 JLPT와 마찬가지로 1시간 배당에 50문제를 푸는 스피드 싸움을 해야 하는데 문장을 외우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된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단기에 성적을 올리기 어렵다는 약점이 있지만 중국어실력 강화의 정도가 될 수 있다.

◇재미있게, 집중적으로 하자=한국인이 느끼기에 중국어가 어순 및 성조 등의 영향으로 입문부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많은 응시자들은 한자, 문법, 듣기 등 기초적인 것 자체를 어려워한다. 이왕 시작한 공부라면 재미있게 얼마간의 기간을 잡고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만리장성에 오르기 위한 한 걸음을 내딛는다는 생각으로 꾸준히 반복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의 02)3452-4788 HSK 한국사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