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피트(COCOPEAT)란?
Coconut의 강인한 생명력과 자생력의 근원인 coconut husk 부위에서 섬유질인 coconut fiber를 추출한 다음에 생기는 coconut dust를 물리화학적 과정을 거쳐 생산된 재료가 cocopeat입니다.
Cocopeat의 매우 중요한 특성은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고 통기성이 좋으며 밀도가 낮고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으며 분해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풍부한 식물 영양과 탄소함유물질을 포함하고있다는 것입니다.
적도의 뜨거운 태양과 풍부한 강수량으로 성장한 양질의 coconut열매에서 추출한 cocopeat는 집적된 유기물질로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며, Cocopeat는 물리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의 활동 등 토양의 중요한 여러가지 성질에 관여합니다.
cocopeat 지구상에서 생성되는 부식물집적의 대표적인 것이고 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고 중요한 유기질 배양재료이며, 외국(유럽 등)에서는 일찍이 18세기에 벌써 채소와 식물생산에 사용했으며 상당히 많은 연구 문헌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코코피트의 주요성분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탄소함유량이 50∼60%, 질소함량이 1.0∼2.7%, 수소함량이 5.1∼6.1%, 산소함량이 30∼30%,유황함량이 0.2∼0.5%이며, 부식산(Humic acid), 황산, 부식교질(Colloid)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편적으로 부식산 함량이 5∼20%인데, 어떤 것은 최고 60%까지 함유한 것도 있습니다
Cocopeat는 그 무게의 약 반에 해당하는 물로 구성되지만, 그 무게의 8∼9 배의 물을 흡수하고, 포화대기중에서 80∼90%의 물을 흡수하는데 비해 점토는 15∼20%를 넘지 못하며, 이와같이 흡수성이 크므로 빗물에 의한 토양의 유실을 감소시키고 보수력에 의해 가뭄의 피해를 감소시킵니다.
Cocopeat는 질소(N), 인산(P), 규산(Si), 석회(C,K), 황(S)등 이외에도 식물양분을 보유하는데 이들 성분은 분해하여 유효하게 작용되며, Cocopeat 생산 공정중 제일 중요한 공정은 Husk 팽윤 수침과정으로서 소요기간이 3∼5개월이 걸리는데 이 기간중 cocopeat 속에있는 식물성장의 해가되는 탄닌성분 및 EC성분이 주로 제거되며 2차로 자연부식 과정에서 제거되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블로그 농장지기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일몰제 (0) | 2009.01.29 |
---|---|
시복, 시성, 가경자 (0) | 2009.01.28 |
올해의 사자성어로 `호질기의'(護疾忌醫) (0) | 2008.12.22 |
CKD(complete knock down) (0) | 2008.12.05 |
재판매가격유지행위란? (0) | 2008.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