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직포는 방직용 섬유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놓거나 또는 아무렇게나 배열하고 접착시킨 쉬트 또는 웹이다.
이들 섬유의 원은 천연의 것이거나 인조의 것이다. 이들 섬유는 스테이플섬유(천연 또는 인조) 또는 인조필라멘트이거나 혹은 시투상으로 되어있다.
부직포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되며 제조과정을 다음의 3단계(웹형성, 접착 및 완성가공)로 간편하게 나눌 수 있다.
(Ⅰ) 웹형성
웹을 만드는데는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기본적인 방법이 있다.
(a) 섬유를 카딩하거나 에어레잉함으로서 쉬트를 형성하여 만드는 방법. 이들 섬유는 평행, 교착 또는 아무렇게나 배열되어 있다.(dry-laid공정).
(b) 방출된 필라멘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냉각시켜서 직접 웹으로 만들거나 또는 응고·세척하여 직접 습식의 웹으로 만드는 방법(spun laid공정).
(c) 섬유를 물속에서 서스펜딩 및 분산시켜 이러한 결과로 생긴 스러리를 와이어스크린에 침전시킨 다음 물을 제거하여 웹을 만드는 방법(wet-laid공정).
(d) 섬유의 제조, 웹의 형성 및 접착이 동시에 일어나는 여러가지 특수기술에 의한 방법(in situ공정).
(Ⅱ) 접착
웹형성후 섬유를 웹의 층과 폭에 걸쳐서 결합하거나(연속법)점상 또는 일부분만 결합한다(간헐법).
이러한 접착방법은 다음의 3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다.
(a) 화학적 접착 : 섬유를 접착물질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접착은 용액 또는 유상액으로 되어 있는 고무·검·전분·아교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접착성 있는 결합제를 침투시키거나 분상의 플라스틱으로 가열처리하거나 용제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인딩 화이버도 화학적 접착에 사용될 수도 있다.
(b) 열접착 : 섬유를 열(또는 초음파)처리로 결합시킨 후 웹으로 하여금 오븐을 통과하게 하거나 과열된 롤러(area bonding) 또는 가열부조된 캘린더(point bonding)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다. 열접착에는 바인딩 화이버가 사용될 수도 있다.
(c) 기계적 접착 : 물리적으로 구성섬유를 얽히게 함으로서 웹을 강하게 한다. 이러한 접착은 고압공기 또는 물 분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늘의 사용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stitch-bonding 방법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만, 바늘을 사용하여 만든 제품이 부직포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한한다.
- 필라멘트를 기재로 한 웹
- 바느질이 기타 다른 유형의 접착을 보완하고 있는 스테이플섬유웹
이러한 각종의 접착공정은 때로는 조합하여 시행되기도 한다.
(Ⅲ) 완성가공
부직포는 염색·날염·침투·도포·피복 또는 적층되기도 한다. 일면 또는 양면에다가 방직용 섬유직물 또는 기타 다른 재료의 쉬트를 피복한 부직포(거밍·봉재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하여)는 부직포로서의 본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이 호에 분류된다.
이 호에는 특히 고무·플라스틱 또는 이들을 혼합한 접착제를 도포(塗布)한 부직포로 된 접착테이프도 포함된다.
이 호에는 또한 방직용 섬유가 탈이나 이와 유사한 물질로서 응집되어 제조된 특정의 루핑펠트와 이와 똑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나 다만 소량의 코르크 파편을 결합한 소위 "역청펠트"로 알려진 특정물품도 포함된다.
다만, 제39류 또는 제40류에 해당하는 다음 물품은 제외한다.
(a) 부직포를 플라스틱 또는 고무중간에 완전히 삽입한 물품 및 부직포 양면 모두에 플라스틱 또는 고무를 도포(塗布) 또는 피복한 물품으로서 육안으로서 도포(塗布) 또는 피복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것.
(b) 부직포와 결합한 셀루라 플라스틱 또는 셀룰라 고무의 판·쉬트·스트립으로서 방직용 섬유재료가 단순히 보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제39류 총설의 "플라스틱과 방직용 섬유와의 결합물품"이라 칭하는 부분 및 제4008호의 해설(A) 참조)
====================================================+++++++++++++++++++++++++++++=================================================================
부직포는 제조공정 또는 접착공정과 섬유 및 필라멘트의 밀도·웹의 수량에 따라 두께와 특성(유연성·탄력성·내파열성·흡습성·안정성등)이 달라진다. 어떤 종류의 부직포는 지·판지·셀룰로스워딩·세무가죽 또는 제5601호의 워딩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들은 제조공정중에 섬유가 소화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지·판지·셀룰로스워딩과 구별된다.
결국, 웹과 쉬트의 모든 층과 폭에 걸쳐서 섬유나 필라멘트가 접착되어 있다는 사실이 부직포를 제5601호의 특정 종류의 워딩으로부터 구별하는데 도움을 준다(이 호의 해설 참조).
어떤 부직포는 기타 방직용 섬유직물과 같이 세탁도 가능하며 비틀어 짤 수도 있다.
이 표의 다른 호에 특게(特揭)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기타 가공없이 커다란 조각에서 단순히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으로 절단 또는 일정길이로 절단 또는 원단상의 부직포를 포함한다 : 접어져서 제시되거나 포장에(예 : 소매용) 넣어졌는지 여부는 불문, 이 호에는 적층된 플라스틱에 일체가 된 결합용 facing webs(overlay) : top을 포함하며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 적층플라스틱 결합용 facing webs(overlay), 1회용의 유아용냅킨(diapers) 또는 위생용 타올제조용 top-sheet, 보호용 의류 또는 의류안감 제조용 직물, 액체 또는 공기 여과용·충전제용·방음용·건물 또는 기타 토목공사에서의 여과 또는 분리용으로 사용되는 쉬트, 역청루핑직물의 제조용 기질, 터프트한 가페트 등에 대는 이면재(주 또는 부재료), 손수건, 베드린넨, 테이블 린넨 등
이 호에는 다음의 것도 제외된다.
(a) 의료용 또는 소매용으로 된 붕대(제3005호)
(b) 제33류의 향료 또는 화장품류, 제3401호의 비누 또는 세척제, 제3405호의 광택제·크림 기타 이와 유사한 조제품, 제3809호의 직물유연제 등의 물질 또는 조제품을 침투·도포(塗布)·피복한 부직포(방직용 섬유재료가 단순히 매체로 되어 있는 경우에 한한다).
(c) 니들룸 펠트(제5602호)
(d) 제57류의 양탄자류와 기타 부직포로 된 바닥깔개.
(e) 제5802호의 터후트한 부직포.
(f) 볼덕(제5806호).
(g) 원단상의 자수한 부직포(스트립 또는 모티프로 된 것에 한한다)(제5810호).
(h) 원단상의 방직용누비섬유제품(바느질 또는 기타 방법으로 워딩과 조합한 한층이상의 방직용 섬유로 만든 것에 한하며 제5810호의 자수포를 제외한다)(제5811호).
(ij) 제5911호의 공업용의 부직포.
(k) 분상·입상의 연마재료(제6805호)를 피복하였거나 또는 응결운모·재생운모(제6814호)를 피복한 부직포.
(l) 부직포를 뒷면에 부착한 금속박(일반적으로 제14부 또는 제15부)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O업체 인증제도 (0) | 2009.11.11 |
---|---|
폐연료봉 (0) | 2009.11.03 |
포미족(For me) (0) | 2009.11.02 |
JUNCTION BOX (0) | 2009.11.02 |
[스크랩] 명칭정리 (0) | 200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