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모음방

만성피로... 어찌하면 좋을까요?

그린빌나 2006. 9. 11. 17:19
 

만성피로는 피곤하기만 한가요?

  만성 피로 증후군의 증상은 간단하지 않아서 눈 주위나 입술주위가 씰룩거리고, 손 다리가 차갑고 저리며, 목뒤나 어깨가 단단하게 뭉쳐서 아프고, 심지어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변비, 설사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불면증으로 고생하기도 하고 우울하거나 짜증이 잘나고 예민해 지기도 하며 목에 무언가가 걸린 느낌이 나기도 합니다.


만성피로는 왜 생기는 건가요?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체내의 호르몬, 효소, 미네랄 등이 작용,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부터 만성 피로를 이겨내 봅시다.


하나, 몸이 푸석푸석 붓고 체중이 늘어나는 것 같기도 하다?

  이럴 경우에는 밥, 국수, 수제비, 라면, 순대, 어묵, 고구마, 감자, 옥수수, 떡, 빵, 도너츠 등과 같은 곡류는 줄이고 두부, 콩, 두유, 살코기 같은 단백질 음식 위주로 섭취를 합니다. 고기를 먹을 때에는 마늘과 양파, 야채 등을 함께 곁들여 먹도록 합니다. 과일 중에는 딸기, 파인애플, 감 보다는 사과, 배, 토마토 등이 더 좋습니다. 포도를 먹게 될 경우에는 껍질까지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탄수화물 섭취가 너무 많으면 기름기가 몸속에서 분해가 안 되고 에너지 양이 부족하게 됩니다. 같은 탄수화물 중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같은 냉면을 먹더라도 고구마전분으로 만든 함흥냉면보다는 메밀로 만든 평양냉면이 더 좋습니다.


둘, 눈이 떨리고 어깨가 꽉 뭉쳐요. 손발도 차요.

  마그네슘이 많이 들어있는 이런 음식들이 큰 도움이 됩니다. 미나리, 신선초, 청경채, 상추, 돌나물, 시금치 같은 푸른색채소를 많이 먹어야 합니다. 브로컬리나 클로렐라에도 마그네슘이 많지만 이런 음식들은 칼슘도 많기 때문에 눈가 떨림 증상이 심한 사람들에게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스트레칭과 요가, 마사지도 만성피로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다보면 건강 회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 밖에 물은 석회 지대에서 만들어진 서양의 물보다 우리나라의생수가 좋습니다. 물은 하루에 1L 이상 먹도록 합니다. 대체적으로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으며, 특별한 성인병이 없다면 반신욕도 도움이 됩니다.



셋.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우울하면서 성격이 예민해지는 것 같아요.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언가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입니다. 재미를 이끌어 내어 삶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기를 3개월 정도사실 그대로 솔직하게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미사여구를 쓰지 말고 생각나는 그대로 써야합니다)입니다. 일기를 쓰다보면 자신의 생활 패턴을 읽을 수 있게 되며 스트레스나 우울증의 원인을 찾아 낼 수 있어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줍니다. 유산소운동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알지만 갑작스럽게 마라톤을 하거나 스포츠센터에 등록을 해서무리하게 운동을 시작하는 것은 오히려 해가될 수 있습니다. 가볍게 걷기, 스트레칭부터 시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또한 건강해지기 위해서 지로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식의 경우에는 키토산 율무 등은 콜레스테롤이 높은 사람에게 좋고, 노니쥬스 등은 변이 퍼지고 냄새가 많이 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C도 생리통이 심한 여성이 아니면 대부분의 경우 권장이 됩니다. 특히, 우리가 원기회복을 위해 자주 먹는 장어나삼계탕 등은 아르기닌 성분이 많아 체내 활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지만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혈관이 확장되면서 오히려 더 피곤해 질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 쓰는 부품이 모두 다른 것처럼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음식이 나에게는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의의 정확한 처방에 따라 음식을 섭취하고 내게 맞는 적합한 운동을 병행해 주는 것이 만성피로를 이기는 좋은 방법입니다. 뿐만 아니라 위의 세 가지 처방 이외에 음주와 흡연을 절제하는 생활습관이 우선 되어야 합니다.


  만성피로는 몸의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로를 함께 동반합니다. 무엇보다 심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생활의 여유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과 함께 자연의 공간에서 심신의 안정을 취해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