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KS 규격 제정
기술표준원, 시범보급 활성화 기여
고유가 지속 등으로 전세계가 안정적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에 눈을 돌리고 있는 가운데 연료전지에 대한 한국산업규격(KS)이 제정돼 최근 고시됐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연료전지의 상용화 전망에 따라 지난해 마련된 국제규격에 따라 연료전지 모듈과 연료전지 용어에 대한 KS를 마련, 이날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기술표준원은 이번 ‘연료전지 표준’에 대해 내달 16일 대구 EXCO ‘수소·연료전지 국제표준 대응 심포지엄’에서 첫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기술표준원은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각국의 기술개발 및 표준화 전쟁에 참여, 우리 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하기 위해 지난해 독일에서 열린 총회에서 연료전지 기술위원회(IEC/TC 105) 총회의 한국 유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올해 9월 일본동경 총회에서 2009년도 한국유치 결정이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연료전지 모듈(Fuel Cell Module)은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 중 발전시스템 전체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으로 실제 전기와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정된 규격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연료전지기술위원회(TC105)에서 지난해 9월 하나의 규격으로 통합·정리된 것을 기술적 내용 변경 없이 이번에 도입했다.
연료전지 모듈 표준은 연료전지 모듈의 안전·성능요건, 설계요건, 작동시험 및 정기점검시험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고정형·휴대용·수송용 연료전지 모듈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 모듈과 함께 표준화된 ‘연료전지 용어’는 이 분야 전문가와 실무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들을 통일화한 것으로 모든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련된 도해와 정의 및 수식어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번 연료전지 표준 제정으로 올해부터 시작되는 ‘가정용 연료전지 모니터링 사업’에 적용돼 가정용 연료전지 시범보급과 연료전지 자동차 시범운전사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료전지의 종류에는 인산형(PAFC), 용융탄산염형(MCFC), 고체산화물형(SOFC), 고분자전해질형(PEMFC) 4종이 있다. 인산형(PAFC)은 LNG, LPG,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해 220℃의 온도에서 발전한다. 건물빌딩용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올해를 실용화시점으로 잡고 있다. 용융탄산염형(MCFC)은 LNG, LPG, 메탄올, 석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해 650℃에서 발전한다. 중·대규모 발전용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2008년을 실용화시점으로 잡고 있다.
고체산화물형(SOFC)은 LNG, LPG, 메탄올, 석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해 800∼1000℃에서 발전한다. 중·대규모 발전용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2015년을 실용화시점으로 잡고 있다. 고분자전해질형(PEMFC)은 LNG, LPG,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해 80℃에서 발전한다. 자동차, 가정용, 분산전원용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2006년을 실용화시점으로 잡고 있다.
연료전지 ( Fuel Cell )
연료전지는 관세경감(65%)되는 품목으로 수소, 또는 기타의 액체 연료(천연 가스, 나프타, 메탄올)를 직접 전기로 전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장치로 이것은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그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직류 발전 장치임 즉, 연료의 연소 에너지를 열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에너지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기가스와 소음이 없는 무공해 전원 장치이며, 미래형 발전기라 할 수 있음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 최악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아직 백신 없어.... (0) | 2006.06.27 |
---|---|
'자동차연료 환경품질등급제' (0) | 2006.06.23 |
2006년 최저생계비 (0) | 2006.06.16 |
세관관서 관할구역 (0) | 2006.06.16 |
민원사무처리기간 계산 (0) | 200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