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칼럼

다문화사회로 거듭나기

그린빌나 2006. 7. 14. 10:17

[열린세상] 다문화사회로 거듭나기/윤희원 서울대 국어교육학 교수

동네에 외국인이 나타나면 무서워서 숨던 시절이 있었다. 길가에 외국인이 지나가면 신기해서 따라다니던 시절이 있었다. 외국인은 모두 우리보다 잘 살고, 아는 것도 많고, 그들이 우리보다 ‘잘난’ 줄 알았던 시절이 있었다. 하긴, 우리가 이름을 아는 대부분의 국가보다 우리가 더 가난했던 시절이 있었다.

우리는, 누가 뭐래도 가족을 위해서, 열심히 살았다. 나라 안에서도 그랬고, 나라 밖에서도 그랬다. 여기저기서 설움도 받고 속상한 일도 많았지만, 어떻든 이제는 ‘이 마∼안큼’ 살게 되었다. 우리끼리 똘똘 뭉쳐서 나라를 살렸다. 이런 ‘우리끼리’의 우리 사회에 낯선 이들이 눈에 띄기 시작하였다. 처음에 그들은 ‘부대’에서,‘외국인 아파트’에서 자기네들끼리 모여 살았다. 그들이 우리의 거리에 나서면, 우리는 그들을 ‘특별한’(더러는 이상한) 존재로 치부하고 슬쩍 지나치거나, 그들에게 필요한 약간의 친절을 베풀면 그만이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낯선 이들이 우리 가까이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그들은, 우리 선배들이 그랬던 것처럼, 그들의 가족과 국가를 위해,‘아메리칸드림’에 버금가는 ‘코리안드림’을 갖고 그들의 조국을 떠나와서는, 우리의 일터로, 우리의 가정으로 들어왔다.

이들 새 이웃에 대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의 단일민족’인 우리는 당황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어쩌다가 마주치면 대체로 못 본 척하거나 더러는 “뭐하러 왔나?”하는 눈빛으로 아래위를 훑어보기도 하면서, 각자 자기나름의 방법으로 대처(?)하였다.

우리가 이렇게 어물어물하고 있는 사이에 이들은 우리 사이에 들어와서 살 뿐 아니라, 아이들을 낳고 길러서 우리 아이들과 같은 학교를 보내게 되었다. 이른바 다문화가정, 즉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2500여명, 이하 2005년 기준)와 외국인 가정의 자녀(1만 7000여명), 새터민(탈북자) 가정의 자녀(800여명)들이 우리 아이들과 같이 자라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두가 귀한 자식이고 소중한 생명이건만 이들의 하루하루는 그리 편해 보이지 않는다. 왕따를 당하면서라도, 좌충우돌하면서라도, 학교에 다니고 있는 아이들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학교 밖에서 맴돌고 있거나 학교를 아예 등지고 있는 형편이었다. 이들에게 모두가 무심하고 야박한 것은 아니다. 친절한 자원봉사자가 있고, 헌신적인 선생님도 계시며, 수많은 지자체와 NGO에서 손을 내밀고 있다. 교육부와 여성부, 복지부, 노동부, 문화부 등등 정부의 여러 부처에서도 대책을 마련하느라 부심하고 있다. 각 방송사에서도 앞다투어 관련 프로그램을 만든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노력들이 ‘시혜적’ 관점에서 ‘저들’을 대상으로, 제각각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다문화 가정의 자녀나 부모들 가운데에는 자원봉사에 응하느라 다른 일을 할 수가 없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제 ‘우리’가 된 저들을 위해서 좀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차분하게 대책을 세우고 추진해 나가야 한다. 다문화가정의 문제는 저들만 배우고 적응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다. 같이 살아갈 우리도 배우고 적응해야 한다. 다만, 이러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우리의 정체성을 부정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아님은 부동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

아직 늦지 않았다. 우리 모두의 자각과 관심을 북돋우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민·관의 노력과 재원을 현명하게 운영해야 한다. 다인종 국가인 미국, 다문화사회의 성공 사례라는 프랑스와 영국, 독일 등의 경우를 면밀히 검토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해야 한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넓고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고, 현명한 투자와 활동을 계속한다면, 이제까지 우리 민족이 그래왔던 것처럼 세계를 다시 놀라게 할 만큼 멋진 결과가 있을 것이다.

윤희원 서울대 국어교육학 교수

 

□다문화사회로 거듭나기
(윤희원 서울대 교수, 서울신문 열린세상)

윤희원 서울대 교수는 서울신문 열린세상 ‘다문화사회로 거듭나기’를 통해 “길가에 외국인이 지나가면 신기해서 따라다니던 시절이 있었는데 언제부턴가 낯선 이들이 우리 가까이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며  “그들은 우리 선배들이 그랬던 것처럼, 그들의 가족과 국가를 위해, ‘아메리칸 드림’에 버금가는 ‘코리안 드림’을 갖고 그들의 조국을 떠나와서는, 우리의 일터로, 우리의 가정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어 “이제 ‘우리’가 된 저들을 위해서 좀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차분하게 대책을 세우고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다문화가정의 문제는 저들만 배우고 적응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라 같이 살아갈 우리도 배우고 적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윤 교수는 “다문화사회의 성공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해야 하고 “전문적인 인력 양성과 현명한 투자와 활동을 계속한다면, 이제까지 우리 민족이 그래왔던 것처럼 세계를 다시 놀라게 할 만큼 멋진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