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정리

최신 정보통신 용어

그린빌나 2006. 7. 24. 09:37
 

최신 정보통신 용어


1. 해시 알고리듬 ( hashing algorithm [컴퓨터] )

하나의 문자열을 보다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주소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짧은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알고리듬. 해시 알고리즘을 함수로서 표현한 것이 해시 함수이다. ☞ 해시 함수.

2. 장치 독립형 저작 언어

   (Device Independent Authoring Language, DIAL, 裝置獨立型著作言語 [컴퓨터]

하나의 PC 수준의 웹콘텐츠를 다양한 기기의 화면에서도 무리 없이 볼 수 있도록 규정된 모바일용 저작 언어 표준.

기존의 저작 도구들은 대부분 PC나 PDA, 휴대폰 등 각각의 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하여 별개의 웹 페이지를 제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DIAL은 XHTML, CSS 같은 기존의 웹 표준들에 기반을 두면서 휴대폰, PDA 등 디바이스와는 독립적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으로, 화면 크기나 해상도가 서로 다른 기기로서 모바일 전용 웹페이지가 아닌 일반 웹페이지에 접속해도 PC에서 보는 것과 거의 같은 화면을 보여 준다.

3. 쿠키 스니핑 ( cookie sniffing [정보보호] )

사용자의 웹 브라우져에 있는 쿠키를 훔치거나 또는 엿보거나 하는 해킹 기법.

사용자가 게시판이나 쇼핑몰 등을 방문하면 웹 서버는 각종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해 놓는데 여기에는 사용자가 로그인 했을 때 입력한 ID나 password 등 보안상 민감한 정보도 들어 있다. 이러한 정보가 저장된 파일이 쿠키이며, 쿠키 스니핑에 의하여 이것이 다른 사람의 손에 들어 가게되면 사용자는 개인 정보 유출 등의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게 된다.

  

4. 수락 제어 ( Admission Control, 受諾制御 [데이터통신] )

트래픽의 폭주시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통과시키고 낮은 것은 차단하는 등 트래픽의 통신망 진입을 제어하는 것. 긴급통신이나 재난통신, 119, 113, 112와 같은 우선순위와 사용자와 계약된 서비스 품질(QoS)에 관련되어 적용된다.

5. 체감 품질 (Quality of Experience, QoE, 體感品質 [관리운용] )

서비스 이용자가 각자의 기대치(expectation)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의 총체적인 허용도. 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척도로서는 NP(망성능)와 QoS(서비스품질), QoE 등이 있다. NP는 망 자체의 성능이 중심이 되고, QoS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제공할 수 있는 품질로서 이들은 서비스를 받는 개개의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한 서비스에 대하여 기대하는 기대치를 근거로 규정하는 품질 척도가 QoE이다. 품질은 좀 낮아도 요금이 싼 서비스가 최고 품질의 서비스보다 QoE가 더 높을 수 있다.


6. 애니캐스트 어드레싱 (anycast addressing [데이터통신] )

여러 도착지중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도착지로 라우팅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식. 전화의 대표번호나 112, 114 서비스와 같이 하나의 패킷에 여러 도착지가 있을 경우 토폴로지상에서 측정된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도착지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애니캐스트는 TCP와 같은 연결(connectionless) 프로토콜 보다는 UDP와 같은 무연결((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에 적합하다. IPv6에서 새로 추가된 것으로 RFC 2526 - Reserved IPv6 Subnet Anycast Addresses로 문서화 되어 있다.

7. 그래픽 처리 장치 (Graphic Processor Unit, GPU, -處理裝置 [컴퓨터] )

컴퓨터에서 그래픽 연산처리를 전담하는 반도체 코어 칩.

컴퓨터의 영상정보 처리, 가속화, 신호전환, 화면출력 등을 담당한다. CPU가 처리하던 기능 중에서 그래픽 부분을 대신 처리하여 CPU의 부담을 줄이고 그래픽 처리 능력을 최대화 할 목적으로, 99년 8월 nVIDIA사에서 처음 내놓았다. CPU와 마찬가지로 많은 열이 발생하여 전용 방열판이나 냉각팬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8. 고속 핸드오버 ( fast handover, 高速- [무선])

이동 노드가 임의의 망으로 이동시에 패킷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빠르게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 이동 단말이 새로운 다른 망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새로운 의탁 주소(COA:Care of Address)를 획득하고 바인딩 업데이트(BU)가 일어나서 정상적 서비스가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면 그 기간 통화중에 이루어진 패킷은 목적지가 불확실하여 패킷 손실이 일어날 수가 있다. 이러한 핸드오버 지연시간(latency time)을 최소화하고 모든 경우의 패킷 손실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9. 백업 복구 아카이빙 (Backup, Restore, Archiving, BuRA, -復舊- [컴퓨터] )

원본 데이터를 한번 더 복사해 저장해 두는 백업, 백업된 데이터를 되살려 놓는 복구, 그리고 원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카이빙을 통합하여 자동화한 것을 나타내는 용어. 데이터관리의 대표적인 3단계인 백업(Backup), 복구(Retore), 아카이빙(Archiving)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이 세가지를 자동화하고 통합함으로써 관리 절차를 간소화하고, 오류 발생의 가능성을 최소화 한 것이다.


10. 심리스 핸드오버 (seamless handover [무선] )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서비스 품질(QoS)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 QoS는 고려하지 않고 네트워크면에서의 핸드오버만을 의미하는 일반 핸드오버에 대응되는 말이다.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의 표시법  (0) 2006.08.02
유다 신드롬  (0) 2006.08.01
사글세  (0) 2006.07.20
쓰나미와 메가쓰나미  (0) 2006.07.18
돈세탁이란?  (0) 2006.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