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란?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불어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 또는 떨어지는 모래흙을 말한다. 일제 강점기부터 (1910년 이후) '황사(黃砂)' 라 부르고
있다.
- 황사정보와 특보란?
2002년 4월부터 기상청에서 황사특보를 실시하게 되었다.
ㅇ 황사정보
황사로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농도300㎍/㎥이상이 2시간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노약자,어린이,호흡기질환자 실외활동 자재
- 유치원,초등학교,실외활동 자재
- 일반인의 과격한 실외운동 자재
ㅇ 황사주의보
황사로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농도500㎍/㎥이상이 2시간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노약자,어린이,호흡기질환자 실외활동금지
- 유치원,초등학교,실외활동(운동,실외학습등)금지
- 일반인의 과격한 실외운동 금지
ㅇ 황사경보
황사로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농도1000㎍/㎥이상이 2시간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노약자,어린이,호흡기질환자 외출금지
- 유치원,초등학교,실외활동 금지 및 수업단축,휴업 등의 학생 보호조치 강구
- 일반인의 실외활동 금지 및 외출자재
- 실외 운동경기 중지 및 연기
ㅇ 황사의 발원지(몽골)
고비(gobi)란 말이 중국 문헌에 처음 쓰인 것은 구당서(舊唐書)에 과벽(戈壁)이란 말로 기록되면서부터이다. 몽골 고원의 동남쪽을 넓게
점하면서 내·외몽골에 걸쳐 있는 고비는 '사막성 초원', 즉 거친 초원이란 뜻이다. 몽골의 넓은 초원을 자연적 구조에 따라 구별하자면 북부의
삼림성 스텝(항가이), 동남부의 사막성 스텝(고비)으로 양분한다.
고비 전역은 원래 내해(內海)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중에
고기암층(高期岩層)은 해성층으로 습곡, 단층이 현저한 반면 백악기 이후의 층을 이룰 정도로 대요곡(大撓曲)운동 이외에 지각변동을 크게 받지
않았다. 원형이 잘 보존된 공륭과 공룡의 알이 다수 발견된 곳도 바로 이 지층이다. 대요곡운동의 결과 낮은 곳은 융기하여 육지가 되고 그 후에
풍화, 침식작용에 의해서 사력이 퇴적하여 오늘의 고비를 형성하여 왔다.
형기주 (대한지리학회지, 제 32권 2호 265∼273)
몽골의 모래폭풍 일수, 양사(drifting dust) 일수, 그리고 황사 일수 등 3가지 분포도를 보면, 몽골 서부(Altai,
Khangai와 Khentei 산맥 풍하측)의 모래폭풍 발생 일수는 5일 이하지만 남부(Gobi 사막과 기타 반사막)에서는 20∼37일이다.
양사(Drifiting dust)의 최대 발생일수는 Mongol Els지역이다.
몽골의 모래폭풍의 61%는 봄에 발생한다.
모래폭풍은 평균 3.1∼6.0시간 지속되며, 낮에 50%, 밤에 20% 발생한다. 모래폭풍은 도시지역에서 더 자주 일어나며, 모래폭풍이 발생되면
지상풍은 대개 6∼20m/s이다. 모래폭풍은 공기와 토양이 건조할 때 발생하는데, 약 70%는 건조한 토양조건에서 발생되었다. 먼지폭풍이
발생되면 상대습도는 평균 20∼40%이었다.
1960년에서 1990년까지 황사일수가 3배 증가되었다.
발췌요약 (Natsagdor et al., 2002)
![]() |
![]() 모래폭풍(Sand storm), 양사(Drafting dust), 황사·부진(Floating dust)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 고시 등에 사용된 가운데점( · )의 의미 (0) | 2006.04.21 |
---|---|
마이거진(Mygazine) (0) | 2006.04.19 |
품목분류 사전심사 제도 (0) | 2006.04.14 |
'먹튀' (0) | 2006.04.13 |
하이브리드 자동차 (0) | 2006.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