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정리

SI(국제단위계)

그린빌나 2006. 8. 2. 08:22
① “SI”란 프랑스어 Le Systeme International d'Unites의 약어로 현재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여 국제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제단위계”로서 "미터계"(또는 "미터법")라고 부르고 사용하여 오던 단위계가 현대화된 것을 말한다. 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국제단위계"라는 명칭과 그 약칭 "SI"를 채택 결정하였고, 이 단위계의 명칭은 각 나라의 언어에 따라 다르지만("國際單位系",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등) 그 약칭 "SI"는 세계 공통임
 ② 국제단위계(SI)는 기본단위, 유도단위 2가지 부류의 단위로 형성 되어 있다.
 '기본단위'는 관례상 가장 기본이 되는 7개의 단위로서 독립적인 차원을 갖도록 정의되어 있다. 7개의 기본단위는 미터, 킬로그램, 초, 암페어, 켈빈, 몰, 칸델라이다. '유도단위'는 기본단위를 물리법칙에 의해 대수적인 관계식으로 결합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③ 우리나라 관세율표에 사용되는 단위는 “SI 국제단위계”를 WCO(세계관세기구)의 제15차 HS위원회에서 마련한 권고안인 단위로 작성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입니다.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유권해석  (0) 2006.08.02
원유이름  (0) 2006.08.02
기능단위 기계  (0) 2006.08.02
방사선 중합  (0) 2006.08.02
환율의 표시법  (0) 2006.08.02